본문 바로가기


study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배경과 의미

 

4월 11일은 대한민국의 뿌리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입니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 이념을 계승하고.."

 

위와 같이 대한민국 헌법 전문 앞부분에 명시되어 있듯, 우리나라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하고 있습니다. 

01

임시정부란?

임시정부란 정식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 정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이후 중국 상하이에서 조직 및 선포된 우리나라의 임시정부입니다. 삼권 분립에 기초한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또한 1945년 광복을 맞이하기까지 27년간의 독립운동의 산실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배경

1918년 1월 미국 제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미국 의회에서 '각 민족은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이 권리는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의 민족자결주의를 제기하였습니다. 이에 전 세계의 독립운동가들이 크게 고무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같은 해 독일의 항복으로 1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독립운동의 열기는 더욱 고조되었습니다. 

 

1919년 1월 21일 고종이 일제에 의해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퍼지고 이에 반일 감정이 고조되었습니다. 

 

1919년 2월 1일 해외에서 활동 중인 독립운동가들 39명의 명의로 대한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가 발표되었습니다. 최초의 독립선언이었으며, 이 선언서에는 '사기와 강박으로 이루어진 한일병합조약은 무효이며, 반드시 독립을 쟁취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있었습니다.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들이 종로 태화관에 모였습니다. 이들은 3.1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체포되었고, 시민들은 태극기를 들고 거리로 나가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습니다. 이 만세 시위는 3월부터 시작하여 5월까지 격렬하게 지속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3.1 운동 이후 독립운동을 계속 확대해 나가기 위해 국내외에서 정부 수립계획이 진행되었습니다. 이에 <대한국민의회><한성정부><상해임시정부> 등 국내외에 6개 이상의 임시정부가 수립됩니다. 이들은  상해에서 통합 임시정부를 구성하게 되고, 그 정부가 1945년까지 이어져 현재 대한민국의 역사의 시작이 되는 것입니다. 

 

1919년 4월 10일 상하이에서 29명의 임시의정원 초대 의원들이 조국 광복을 염원하며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짓게 됩니다. 

 

1919년 4월 11일 임시헌장을 수결하고 선포하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탄생하게 됩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과 의미

다양한 외교활동, 군사활동은 물론 독립운동 자금 마련, 독립신문 발행, 민족교육 등 다방면으로 국권회복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활동들은 우리의 자주권을 세계에 알리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국민들에게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광복의 희망을 안겨주기도 했습니다. 

02
김구 서명문 태극기(출처:공유마당) 김구가 1941년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매우사 신부에게 준 태극기입니다. 바탕에 광복군에 대한 우리 동포들의 지원을 당부한 김구 선생의 친필 묵서가 쓰여 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변경 

2018년까지는 4월 13일에 관련 행사가 진행되었으나, 2019년부터는 역사학계에서 발견한 추가 자료 및 학계의 의견에 따라 4월 11일로 변경되었습니다. 

 

주요 인물

김구(金九)

03

황해도 해주 출신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후반기를 이끌던 지도자입니다. 이봉창 의거와 윤봉길 의거를 지휘했으며, 광복 후에는 나라의 완전 자주독립을 위해 노력하다 암살당했습니다. 저서로는 <백범일지 白凡逸志>가 있습니다. 

04
김구 명언

윤봉길(尹奉吉)

05
윤봉길 선서장면(출처: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제1유형 https://www.kogl.or.kr)

충남 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1932년 4월 29일 일왕의 생일날, 행사장에 폭탄을 던졌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군 대장과 거류민단장이 즉사하였으며, 윤봉길은 현장에서 체포되어 그해 12월 총살형을 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중국 등 세계에 알려졌으며, 장제스는 이를 두고 "중국 100만 대군도 하지 못한 일을 조선의 한 청년이 해냈다"라고 격찬하였습니다. 

06
1932 윤봉길의거 직전의 기념식장 모습(출처: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제1유형 https://www.kogl.or.kr)

4월, 이 아름다운 봄날을 만끽할 수 있는 건, 나라의 국권회복을 위해 자신의 모든 재산과 목숨을 바쳐 희생하였던 임시정부와 독립운동가들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만큼은 이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하루 보내야겠습니다. 

 

그리드형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9혁명, 그리고 미얀마  (0) 2021.04.14
글 잘 쓰는 법 7가지  (4) 2017.12.11
4차산업혁명이란? 간단 정리  (2) 2017.12.06